KANG DA HYEON

MAM
Beech Wood / 2000x2000xH2400mm / 2018.
<MAM> stands for mammoth, an herbivore.
Mammoths have huge ivory to survive in the world of the jungle.
However, ivory rather causes mammoths to die and become extinct.
Because it became the object of human greed.
Therefore, the ivory of the mammoth had to be beautifully expressed.
Just as the carnival's victims, where slaughter and festivals coexist, are beautiful.
<MAM> is also a mirror that contains the double meaning of ‘Mam’ and ‘mind’.
The mirror allows to look inner self and makes you look back at everything.
It reflect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overcoming paradoxical, contradictory, and tragic situations (Grotesque situations).

맘
너도밤나무 / 2000x2000xH2400mm / 2018.
<맘>의 맘은 초식동물인 매머드를 상징한다.
매머드는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거대한 상아를 가졌다.
그러나 상아는 오히려 매머드를 죽음과 멸종에 이르게 한다.
인간의 탐욕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매머드의 상아는 아름답게 표현되어야 했다.
살육과 축제가 공존하는 카니발의 희생물이 아름다운 것처럼.
또한 <맘>의 맘은 '마미(엄마)와 마음'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담은 거울이다.
거울은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고 모든 것을 되돌아보게 한다.
역설적이고 모순적이며 비극적인 상황(그로테스크 상황)의 치유와 극복의 가능성을 비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