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G DA HYEON
GROTESQUE SERIES
The Grotesque series began with an antipathy to existing aesthetic notions.
Why should art only pursue beautiful things?
The beauty expressed in Grotesque appearance and images!
The Grotesque situation expressed in beautiful appearance and images!
This paradoxical expression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to beauty, the 'beauty of ugliness'.
The Grotesque series is a stark display of endangered animals that repeat evolution and degeneration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In each work, Grotesque appearances and symbolic signals are used to minimize the functionality of furniture and maximize the formability.
The Grotesque series emphasizes the formability to the extreme, almost ignoring the functionality as a furniture.
This makes furniture lead the surrounding space and atmosphere unlike before.
The scope of furniture is expanded to that extent.
Also, the use of symbolic signals through extinct animals in furniture, not in paintings or movies, shows that anxiety and fear of death are in daily life.
Nevertheless, the work somehow presents feeling of comfort by finishing smoothly with organic curves using wood which inherent soft and warm images.
In doing so, the Grotesque series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mutual overcoming and harmonizing the contradictory concepts of beauty and ugliness, functionality and formability, anxiety and comfort.
그로테스크 시리즈
그로테스크 시리즈는 기존의 미적 관념에 대한 반감에서 출발하였다.
왜 미술은 아름다운 것만 추구해야 하는가?
그로테스크한 형상과 이미지로 표현된 아름다움.
아름다운 형상과 이미지로 표현된 그로테스크한 상황.
이러한 역설적인 표현은 ‘추의 미’라는 미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로테스크 시리즈는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와 퇴화를 반복하는 멸종위기 동물들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각 작품에서는 그로테스크한 형상과 상징적 시그널을 사용하여 가구의 기능성을 최소화하고 조형성을 극대화하였다.
그로테스크 시리즈는 가구의 기능성을 거의 무시할 정도로 조형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한다.
이로서 가구는 지금까지 와는 달리 주변공간과 분위기를 주도하게 된다. 그만큼 가구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다.
또한 회화나 영화가 아닌 가구에 멸종동물을 통한 상징적 시그널을 사용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일상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의 나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유기적 곡선으로 매끈하게 마감함으로써 왠지 위로 받는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그로테스크 시리즈는 미와 추, 기능성과 조형성, 불안과 위로라는 언뜻 모순된 개념들의 상호극복과 조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