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rotesque Series _ STRUGGLE

Grotesque Series _ STRUGGLE as the name itself suggests,

beautifully crafted but showing grotesque scenes of creature struggling to live. 

 

In these works living thing flounder itself and advance to the world (CWAK),

walking towards the world with hard stumbling steps (WALK),

Adapting bizarre form to survive in the world of hunt or be hunted (AGARE),

From time to time disrupts natural food chain (SSUK).

However, for survival

result of repeating evolution and degeneration which allowed them to earn tusks in fact causes crisis of extinction (MAM, COCK).

 

Like this, Grotesque Series _ STRUGGLE applied elements of grotesque which is representative signals of endangered animals in furnitures rather than films nor paintings. This uncovers uncomfortable truth and tragedy brought by avarice and indifference of human and to show insecurity of death and fear always exist within us. 

Moreover, Grotesque Series _ STRUGGLE extremely emphasizes formativeness and ignores functions of furnitures. This reverses the concept we had so far that furnitures must be fitted in surrounding space and vibe but as a trial to expand scope of furniture experimenting possibilities and rather suggesting the idea that furnitures can be the main actor and lead the vibe.

 

At last, Grotesque Series _ STRUGGLE While expressing daily anxiety and fear, it somehow gives the audience sentiment of comfort and consolation or sense of beauty. This is because by applicating ‘Laminated wood bending’ to craft silky curves, fine carving, smooth finish, etc best showed wood’s smooth and warm image. 

​그로테스크 시리즈_스트러글

 

 

<그로테스크 시리즈_스트러글>은 제목 그대로

살아남기 위하여 몸부림치는 생명체의 그로테스크한 모습을 아름답게 표현한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 속에서 생명체는 

버둥거리며 몸부림을 친 끝에 세상 밖으로 나와(콱), 

힘겹고 비틀거리는 걸음으로 세상을 향해 걸어간다(워크). 

약육강식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때로는 기괴한 형상을 하기도 하고(아가리), 

때로는 먹이사슬을 파괴하기도 한다(쑥). 

그러나 생존을 위하여 

진화와 퇴화를 반복한 끝에 얻은 상아로 인하여 오히려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맘, 콕). 

 

이와 같이 <그로테스크 시리즈_스트러글>은 멸종동물의 상징적 시그널이라는 그로테스크적인 요소를 영화나 회화가 아닌 가구에 적용하였다. 

이것은 인간의 탐욕과 무관심이 가져온 불편한 진실과 비극을 드러내고,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일상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로테스크 시리즈_스트러글은 가구의 기능성을 거의 무시할 정도로 최소화하고 조형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가구는 주변 공간과 분위기에 맞추어지는 것이라는 지금까지의 사고와는 달리 오히려 가구가 주변 공간과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험한 것으로 가구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마지막으로 <그로테스크 시리즈_스트러글>은 일상의 불안과 공포를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관객들에게 왠지 위로와 위안을 받는 느낌 또는 아름답다는 느낌을 준다. 이것은‘적층곡목기법’을 사용하여 완성한 부드러운 곡선, 세밀한 조각, 매끈한 마감 등을 통하여 나무라는 소재의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를 최대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 Instagram

©2020 by Da Hyeon Kang

bottom of page